평창올림픽 입장권 비자카드로 구입하는 방법

2018년 평창에서 열리는 동계올림픽 준비가 한창이다. 2018 2 9 () ~ 25 ()까지 진행되는 평창동계올림픽은 95여 개국 6,500여 명 참가, 15개 종목을 두고 멋진 경기들이 준비되어 있다. 15개의 종목은 알파인 스키, 바이애슬론, 봅슬레이, 크로스컨트리 스키, 컬링, 피겨스케이팅, 프리스타일 스키, 아이스 하키, 루지, 노르딕 복합,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스켈레톤, 스키점프, 스노보드, 스피드 스케이팅이다.

 

무엇보다 이번에는 어린 선수들이 평창올림픽을 기대하게 한다. 쇼트트랙의 심석희, 최민정 등과 가장 기대되는 남자피겨의 차춘환이 바로 그들이다.

 

(남자 피겨 차준환)

 

2016년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JGP) 대회에서 우리나라 남자 최초로 동메달을 수상한 차준환은 '소년 김연아'로 불리며 2018년 동계 올림픽에서 새로운 역사를 쓸 기대주로 꼽히고 있다. 또한 삿포로 동계아시안게임에서 금메달을 목표로 간 선수들이 심석희와 최민정 등이 좋은 성적으로 돌아온다면 평창에서 이상화 등의 선배들과 더 좋은 기록들을 만들어 낼 수 있을 것 같다.

 

이렇게 기대되는 평창동계올림픽의 현장을 보기 위해서는 경기장 표를 사야한다.

 

그렇다면 구매는 어떻게 하는가? 우선 구매에 앞서 티켓 결제 시 카드결제는 오로지 비자카드(VISA CARD)로만 구입 가능하다. 1988년 서울올림픽부터 지금까지 그러니까 30년간 올림픽 스폰서로 활동하고 있는 비자카드다.

 

이런 후원이 계속 있어서 올림픽이나 스포츠 경기들이 계속 될 수 있길, 그래서 우리에게 각본없는 드라마를 계속 보여줬으면 좋겠다.

 

 

! 그럼 이제부터 온라인 구매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ㅣ 평창동계올림픽 입장권 판매 일정(온라인 추첨식)

 

온라인 추첨식 판매라는 새로운 방식의 티켓팅이 시작된다. 그리고 전체 입장권의 80%를 오픈하는데, /폐회식, 쇼트트랙, 피겨 등 인기 종목 60%를 오픈한다.

 

ㅣ 평창동계올림픽 입장권 구입방법

 

Ø  입장권 구입 방법

1. 14세부터 입장권을 구입할 수 있으며, 18세 이하인 자가 입장권을 구입하는 경우, 법률상 보호자의 동의가 필요하다.

2. 대한민국 국적자가 아닌 사람들은 외국인 등록증이 있어야 구입할 수 있다.

 

Ø  온라인 구매방법

1.     2018 평창 동계올림픽대회 홈페이지(https://tickets.pyeongchang2018.com/)에서 회원가입하고 로그인한다.

 

 

2.     홈페이지 상단에 [입장권 신청하기] 메뉴에서 관람하고자 하는 경기(Session)를 선택하여 (장바구니)아이콘을 클릭하면 상세페이지로 이동한다. (종목, 성별, 경기시간대, 경기장, 날짜별 검색 기능 제공)

 

 

3.     상세페이지에서 좌석 등급과 수량 등을 선택하여 (장바구니담기) 버튼을 클릭한다.

 

 

4.     구입하고자 하는 입장권의 종류와 수량을 모두 선택한 후 [신청하기]버튼을 클릭하면 추첨 신청이 완료된다.

 

! 기억할 점!

1인당 입장권 신청 가능 수량은 총 50매이며, 1개 경기(세션) 주문한도는 인기 경기(세션) 4, 그 외 경기(세션) 8매이다.

★ 인기 경기: 컬링 (결승), 피겨 스케이팅, 아이스 하키 (남자 4강 이상, 여자 결승), 쇼트트랙, 스키점프(결승), 스피드 스케이팅(남자 10000 m 제외), 개회식, 폐회식

 

5.     당첨이 되면 2017 5 14일까지 결제하여야 하며, 결제는 비자카드와 계좌이체로만 가능하다.

★ 카드 결제 시에는 카드 번호를 비롯한 각종 정보를 입력하고, 카드 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한 후 처리된다. (휴대폰 또는 아이핀을 통한 본인인증)

★ 카드 결제 시 무이자 할부 여부는 카드사의 정책에 따른다.

6.     온라인 일반판매 단계에서는 선착순으로 주문과 동시에 결제가 진행된다. 이 시기부터 모바일 홈페이지도 시작됨.

 

ㅣ 추첨 진행 방법

1.     회원으로 가입한 ID로 추첨이 신청된다.

2.     추첨신청은 좌석을 예약한 경기(세션)의 좌석 등급별로 신청되며, 추첨번호가 각각 부여된다.

3.     경기(세션)별 부분 당첨은 없으며, 신청 수량 전체 당첨 또는 탈락된다. (All or Nothing)

4.     추첨 신청 시, 하위 등급 좌석 자동신청(Cascade)을 할 수 있다.

★ 캐스케이드(Cascade) : 추첨에서 탈락한 경우, 하위 가격 좌석으로 자동으로 추첨 신청되는 시스템

5.     당첨되신 사람들은 경기(세션)별로 모두 결제하거나 모두 포기해야 한. (All or Nothing)

(예시) 개회식 2, 피겨 스케이팅 갈라 4매 당첨된 경우

a. 개회식 2매만 결제 => 가능

b. 개회식 2, 갈라 2매만 결제 => 불가능 (갈라 0매 또는 4매 중 선택하여야 함)

 

ㅣ 입장권 종류

1.     기념입장권(Souvenir Ticket): 온라인 추첨식 판매단계 (2017 5)에서 '기념입장권'을 선택한 고객에게 제공된다. 고품격 재질과 디자인으로 제작되어 기념품으로서의 소장가치가 높은 입장권이다.

 

2.     일반입장권(General Ticket)
★ 일반 종이 입장권: 현장 발권용지에 즉석에서 프린트하여 제공되는 입장권.

★ 전자 입장권(e-Ticket)

     - 홈프린팅 입장권: 입장권 구매자가 개인 컴퓨터 환경에서 직접 인쇄하는 입장권.

     - 모바일 입장권: 입장권 구매자의 개인 휴대폰으로 발송하여 주는 입장권.

※ 경기 당일 경기장 앞 티켓 박스 오피스에서는 혼잡이 예상되기 때문에 홈프린팅 또는 모바일 입장권 이용을 권장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8acg3kOcrpY)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이 선정되었을 때 그때가 언제 오나 했는데, 벌써 내년이다. 긴 준비기간의 수고가 아깝지 않도록 훌륭한 평창동계올림픽의 시작과 끝이 있길 기대한다.

 

그리고 평창동계올림픽이 끝나고 동계 패럴림픽대회도 관심있게 봐주자. 응원해야지!!